GRADUATE SCHOOL OF
SYSTEM ARCHITECT

소개 및 비전

GRADUATE SCHOOL OF
SYSTEM ARCHITECT
1 대학원 설치 연혁
  • 2024년 4월:  KAIST-삼성전자 시스템아키텍트 대학원 신설 협약 체결
  • 2024년 6월:  KAIST 공과대학 산하 학사조직 설치
2 설치 배경
  • 삼성전자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KAIST 내 시스템 아키텍트 분야 석사학위과정 계약 대학원 필요
  •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반도체 설계 융합 교육 필요
3 설치 목적
  • 세계적으로 최우수 경쟁력을 가진 반도체 시스템 아키텍트 설계 인력 배출
  • 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경쟁력 강화
  • 삼성전자의 인공지능 반도체와 인공지능 컴퓨터 경쟁력 강화
  • 미래형 KAIST-삼성전자의 산학 공동 인재 양성 모델 설립

시스템아키텍트대학원 인재상

미래반도체 인력의 조건
미래 반도체 기술 체계 피라미드
반도체 설계 계층 피라미드
배출 하려는 인재
  •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시스템 아키텍트 설계
  • SW/HW 동시 설계 능력
  • 서비스 모델에 맞는 반도체와 컴퓨터 구조 설계 능력
  • 미래 인공지능 슈퍼 컴퓨터와 반도체 설계 능력
  • 최적 성능, 최소 전력, 최소 비용의 반도체와 컴퓨터 설계
  • 유연한 사고와 협력 능력
  • 전세계 시스템 반도체의 기술과 산업을 이끌 수 있는 인재
  • 고객과 시장에 대한 탐색과 요구 분석 능력: Customer Need, Market forecast
  • 깊은 통찰 능력과 끈기있는 실행력 (아키텍트=건축가): Commercialization
  • 차별화된 기술적 역량: HW/SW Co-design, Computing software stack co-optimization
  • 기술과 인문의 융합 능력: Human value and behavior  Why?  Creative Innovation
  • 자유로운 소통과 인적 수용력: Global networking, Communication, Interaction, Teamwork
배출하려는 인재상의 대표적 인물
반도체 시스템 아키텍처 분야의 대표적 인물
존 L. 헤네시John Leroy Hennessy 버클리 대학교
  • 국적미국
  • 학력빌라노바 대학교, 전기공학, 학사
    뉴욕주립대, 컴퓨터공학, 석사
    뉴욕주립대, 철학, 박사
  • 경력1977’ 스탠포드 교수
    1984’ MIPS computer systems Inc.설립
    1989’ 스탠포드 컴퓨터시스템 연구소 소장
    1997’ ACM fellow
    1999’ 스탠포드 대학 학장
    2000’ 스탠포드 총장
    2018’ Alphabet Inc. 총장
  • 현직스탠포드 명예 교수

Alphabet Inc. 의 회장을 역임하는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 학자 및 사업가.
MIPS Computer Systems Inc. 와 Atheros 의 창립자이며 스탠포드 대학 의 열 번째 총장.
컴퓨터 과학 교수시절, 구글 창립자들인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를 비롯한 여러 제자를 길러 내는 과정에서, 스승으로서 구글 창업을 도움. `실리콘밸리의 대부(the godfather of Silicon Valley)` 라고 불릴만큼 실리콘밸리의 역사와 함께 사회발전에 기여함.

데이비드 앤드류 패터슨David Andrew Patterson 스탠포드 대학교
  • 국적미국
  • 학력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UCLA), 수학과, 학사
    UCLA, 컴퓨터과학, 석사
    UCLA, 컴퓨터과학, 박사
  • 경력1977’ 전기 및 컴퓨터 과학 교수 임용
    1981’ RISC의 시초가되는 “A Case for ROSC” 발표
    1982’ RISC Company 공동 창립
    1994’ ACM Fellow
    2006’ 미국 NAS 과학자 선정
    2017’ ACM Turing 상 수상
  • 현직UC Berkely, 명예교수 (1997~) RISC-V Vice chair (2015~)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설계에 대한 선구적인
공헌으로 유명하며, RISC라는 용어를 만들고 Berkeley RISC 프로젝트를 리딩함. 컴퓨터 클러스터링 분야의 초기 성과인 워크스테이션 네트워크 (NOW) 프로젝트 리딩.

제임스 B 켈러James B. Keller AMD
  • 국적미국
  • 학력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전기공학, 학사
  • 경력Harris (1980~1981)
    DEC (1982~1998)
    AMD 수석설계자 (1998~1999)
    SiByte 수석설계자 (1999~2000)
    브로드컴 수석 설계자 (2000~2004)
    P.A. Semi 엔지니어링 VP (2004~2008)
    Apple 엔지니어링 VP (2008~2012)
    AMD VP (2012~2015)
    Tesla 오토파일러 HW VP (2016~2018)
    Intel 엔지니어링 SVP (2018~2020)
    Tenstorrent CTO (2020~2023)
  • 현직Tenstorrent CEO (2023~)

AMD64와 하이퍼트랜스포트를 개발해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공학자.
AMD에서 해머와 젠 아키텍처(라이젠) CPU 를 만들며, 인텔과 팽팽한 대립구도를 만든 인물. 인공지능 칩 스타트업인 Tenstorrent의 CEO로 활동.

윌리엄 제임스 델리William James Dally Nvidia
  • 국적미국
  • 학력버지니아 공과대학교, 전기공학, 학사
    스탠포드 대학교, 전기공학, 석사
    캘리포니아 공대, 컴퓨터과학, 박사
  • 경력Bell Lab (1980~1982)
    MIT 교수(1986~1997)
    Avici System 창립 기술 고문(1997~2001)
    Velio Communications CTO(1999~2003
    ) Stream Processors, Inc. 창립자(2004~2009)
  • 현직스탠포드 대학 교수(1997~)
    Nvidia SVP (2009)

대부분의 대형 병렬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시스템 아키텍처, 네트워크 아키텍처, 신호, 라우팅 및 동기화 기술을 개발한 공학자.
IEEE ACM Fellow이자 120건 이상의 아키텍처 특허와 Interconnect network 관련 다수의 저서를 출판함.

라자 M. 코두리Rajabali Makaradhwaja Koduri Intel
  • 국적미국(시민권)
  • 학력인도 안드라 대학교, 전자공학, 학사
    인도카락푸르공과대학, 전자공학, 석사
  • 경력S3 Inc, Director (1996~2000)
    AMD, Advanced technology Director (2001~2007)
    AMD, Graphics Product, CTO (2001~2009)
    Apple, Graphics Arch. Director (2009~2013)
    AMD, Visual computing, CVP (2013~2015)
    AMD, Radeon Arch. SVP (2015~2017)
    Intel, Chief architect & SVP(2017~2021)
  • 현직Intel, Accelerated computing, VP (2021 ~ )

DirectX Ver 3에서 Ver 11까지 진화한 여러 세대의 GPU 아키텍처에 중요한 공헌.
Intel Mac 컴퓨터용 디스플레이의 그래픽 하드웨어 작업 담당.
Nvidia와 AMD에 대항하기 위한 Intel GPU 개발의 핵심 인물.

노먼 파울 주피Norman Paul Jouppi Google
  • 국적미국
  • 학력노스웨스턴 대학교, 전기공학, 학사
    노스웨스턴 대학교, 전기공학, 석사
    스탠포드 대학교, 전기공학, 박사
  • 경력Compaq, Researcher (1984~1998)
    Compaq, Fellow (1998~2002)
    HP, Fellow and director (2003~2010)
    HP, Senior fellow and director (2010~2013)
    Google Distinguished Engineer (2013 ~ 2021)
  • 현직Google Fellow (2021 ~ )

초기 RISC 프로젝트인 MIPS Stanford University Project( John L. Hennessy 소속)의 컴퓨터 설계자.
메모리 계층구조, 이기종 아키텍처 (단일 ISA), 메모리 CACTI 시뮬레이터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
구글 TPU 개발의 주요 인물 중 한 명.

팀 밀레Tim Millet Apple
  • 국적미국
  • 학력스탠포드 대학교
  • 경력Digital Equipment Cor., 엔지니어 (1989- 1992)
    Silicon Graphics, 엔지니어 (1992~1999)
    CoSine Communications, 엔지니어 (1999~2002)
    Apple, Platform Arch., 엔지니어 (2005~2013)
    Brocade, 엔지니어 (2002-2005)
    Apple, Platform Arch., Sr Director (2013~2015)
  • 현직Apple, Platform Arch., VP (2015~)

Apple의 SoC(시스템 온 칩)아키텍처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플랫폼 전력, 성능 및 열 관리를 위한 미래 지향적인 프로토타입 시스템 및 알고리즘에 크게 기여.
팀 쿡과 함께 팀 밀레는 새로운 Apple Watch Series 6 , Apple Watch SE , 8세대 iPad , 새로운 아이패드 에어 개발을 주도.

제라드 윌리엄Gerard Williams lll Qualcomm
  • 국적미국
  • 학력아칸소 주립대학교, 컴퓨터과학, 학사
    미주리 과학기술대학교, 컴퓨팅과학, 석사
  • 경력Texas Instruments, 엔지니어 (1996~1997)
    ARM, Fellow (1998~2010)
    Apple, Platform arch., Sr Director (2010-2019)
    NUVIA inc, CEO (2019~2021)
  • 현직Qualcomm Sr VP (2021 ~ )

저전력 프로세서 아키텍처, 마이크로 아키텍처, 설계, 검증, 성능 모델링 및 구현 전문가.
ARM에서 ARM1020E, ARM926EJ-S, ARM968, ARM1026EJ-S, Cortex-A8 및 Cortex-A15를 비롯한 많은 프로세서 개발에 참여 했으며, Apple의 M1 하드웨어 플랫폼 개발에 참여.

가네쉬 벤카타라마난Ganesh Venkataramanan Tesla
  • 국적미국(시민권)
  • 학력뭄바이 대학교, 전기공학, 학사
    인도 공과대학교 델리, 전기공학, 석사
  • 경력Analog Devices, 엔지니어 (1999~2001)
    AMD, 엔지니어 (2001~2011)
    AMD, Director (2011~2016)
    Tesla, Autopilot, Director (2016~2018)
  • 현직Tesla, Autopilot, Sr Director (2018~)

Ryzen, Excavator, Piledriver, Bulldozer 등 AMD의 다양한 CPU 제품 개발에 기여함.
현재 오토 파일럿을 위한 Tesla Dojo 프로젝트 (AI 신경망 훈련용 슈퍼컴퓨터)의 총 책임자.